전체 글 (81) 썸네일형 리스트형 Boost로 시간 값 사용해보기 Boost로 시간 값 사용해보기 개발을 하다보면, 로그라던가 HTTP 요청을 받았을 때라던가 현재 시간을 정보를 남길 때가 종종 있습니다. 저는 C언어에서는 아래와 같이 현재 시간을 남기고 있습니다 long get_current_msec(void) { long cur_msec = 0; struct timeval tv_time; gettimeofday(&tv_time, 0); cur_msec = (long)(tv_time.tv_sec*1000) + (long)(tv_time.tv_usec/1000); return cur_msec; } Boost에서는 시간을 가져오는 라이브러리가 역시 존재합니다 (물론 위 코드를 사용해서 C++ 코드에 적용해도 괜찮습니다 😊 ) Boost의 Posix Time 소개글에는 아.. Boost::program_options 사용기 오늘은 아침부터 일이 잘 되지 않는다 머리가 잘 안 돌아가서 막막한 느낌 ㅠ.,ㅜ 그래서~~ 기분 전환 용으로 글 하나 쌈박하게 올리고 다시 열일 해보겠다 이전에 작성한 boost 관련 글에도 썼다시피 나는 boost에 많은 고마움을 느낀다 +_+ 엥 이게 있다고? 하는 라이브러리가 많기 때문 이번에 시뮬레이터를 작성할 게 있어서 C로 하려다가 C++로 하려는데 세상에.. Boost에는 program options라는 기능을 제공해서 argument 기능을 참 쉽게 만들 수 있게 해 놓았다 1. 긴 서론 우리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옵션을 추가하여 실행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argument를 프로세스 실행 파일 뒤에 추가해서 사용하곤 하는데 $ gcc --help Usage: gcc [opt.. Wireshar filter & Date format 바꾸기 월요병을 극복하고자 글을 하나 짧게 올릴려고 한다.. 요즘 현업이 너무 바빠서 블로그에 임시저장 한 글만 다섯개인듯 언제 정리해서 올리지 그래서 소소하게 짧은 글만 후딱 올리고 다시 일하러 가려고 한다 오늘의 팁은 Wireshark 간단 사용법이랑 시간 형식 바꾸기이다 1. Wireshark란? 학교 다닐 때는 왜 이걸 쓰는가,, 하고 과제할 때만 썼었는데 이렇게 유용하고 고마운 프로그램이 없다 특히 bit 단위나 로그로 남기기 힘든 내용을 상세하게 보고 싶을 때 정말 많이 쓴다 와이어샤크는 패킷 분석 프로그램이다 네트워크 상에서의 문제/분석/프로토콜 등등을 개발하거나 교육할 때 쓰는 오픈 소스 프로그램이다 원래 이름은 Ethereal이었는데 상표 문제로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출처: 위키백과) 크로스 .. C++ 개발자의 Kotlin 사용기 코틀린 해보겠다고 인텔리제이까지 깐 나는.. 역경에 부딪히고 마는데... 그래서 나중에 또 설치할 일을 대비해서 스크린샷을 첨부했다 누군가에게는 엄청 쉽겠고 이걸 왜 정리하나 싶겠지만 나중에 좀 더 공부하면서 개발하면 놓쳤던 부분도 보일 수 있으니까 Hello world 하나 쓰고 생각해보니 앱 어떻게 띄우는지도 생각이 안났다;;; apk 어떻게 만들었더라? New project를 침착하게 다시 만들어서 열어본다 그냥 New Project에 프로젝트 명만 적고 Next 버튼을 눌렀었는데 왼쪽에 보니 Android와 귀여운 임티가 보인다. 너로구나....!! 침착하게 Install SDK를 누르고, Missing이라는 단어가 보이면 마음이 아픈데 직업병인가 이것도? 또 다음 ㄱㄱ 끝. Finish 버튼을 .. 4. DNA...아 아니 DNS Domain Name을 공부했다면 바로 그다음은 DNS다 이 전에 작성한 글 중 SMTP를 공부했을 때 잠깐 인용만 했었는데 오늘 다시 정리를 해보려 한다 https://mutpp.tistory.com/entry/SMTP%EB%A5%BC-%EC%95%8C%EC%95%84%EB%B3%B4%EC%9E%90 SMTP를 알아보자 서버에서 이메일 전송하는 걸 구현하기 위해 알아보던 중.. SMTP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평소에 아웃룩에서 설정할 때나 사내 메일을 설정할 때도 봤던 친구라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 SMTP란 무 mutpp.tistory.com Cloudflare에서 DNS에 대해 잘 설명을 해둬서 아래에 첨부한 링크에 있는 사이트를 공부해서 정리하려 한다 1. DNS (Domain Name Syst.. Web Server vs WAS Spring 공부하기에 앞서, Web 공부도 필요하길래 정리한 기본 개념 (?)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새로 접하는 분야다 보니 용어 적인 게 많이 헷갈린다 중점을 두고 공부한건 Web Server와 WAS (Web Application Server)라서 나머지는 간략하게 정의만 정리했다 1. Web Browser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웹 서버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HTTP 사용자 에이전트의 대표적인 예시 ex) Google Chrome, FireFox 등 2. Web Application 웹 앱이라고 부름 인터넷을 통해서 Web Browser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로 동적인 기능을 가진 웹 기기에 설치해야 하는 어플의 기능을 웹이 대신해줌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웹 앱의 .. Spring Framework를 알아보자 어쩌다보니 Spring 개발도 하게 된 나 오히려 좋아 (?) Notion에 정리해뒀던거를 가져왔더니 형식이 많이 깨지넴 참고로 Spring Framework의 스프링은 개발자가 편하게 유용하게 개발하길 바라며 봄날이 오길 바란다는 뜻이라고 한다 ㅋ Spring Framework 정의 자바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특징 객체 지향 개발 Application 개발에 용이하도록 (빠르고 효율적) 기본 틀과 프로그래밍 모델, API 등을 제공함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 🤮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개발자가 필요한 기능이 있을 때 직접 가져와 사용하는 기능을 미리 구현해둔 것. String은 java.lang.String에 미리 만들어진 기능.. 3. Domain Name 돔넴 오늘은 Domain Name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Domain Name을 알아보기 전에, Domain 뜻을 먼저 보자면 사전적으로는 영토, 분야, 영역 요런 걸 뜻하는 단어다 ㅋ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점점 확장 되었다 인터넷 주소를 뜻하는 도메인도 원래는 특정 웹 사이트의 영역을 지칭하려고 했는데 의미가 점차 확장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정리 고고 1. Domain Name 정의 도메인 이름은 인터넷 인프라에서 사용하는 식별 문자열로, 네트워크의 이름이나 주소를 구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인터넷의 웹 서버에 사용자들이 읽을 수 있는 주소를 제공해준다 클라이언트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IP 주소에 매핑되는 문자열이다 예를 들어, 구글의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이다 하지만 사실 실..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