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Domain Name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Domain Name을 알아보기 전에, Domain 뜻을 먼저 보자면
사전적으로는 영토, 분야, 영역 요런 걸 뜻하는 단어다 ㅋ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점점 확장 되었다
인터넷 주소를 뜻하는 도메인도 원래는
특정 웹 사이트의 영역을 지칭하려고 했는데
의미가 점차 확장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정리 고고
1. Domain Name 정의
도메인 이름은 인터넷 인프라에서 사용하는 식별 문자열로,
네트워크의 이름이나 주소를 구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인터넷의 웹 서버에 사용자들이 읽을 수 있는 주소를 제공해준다
클라이언트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IP 주소에 매핑되는 문자열이다
예를 들어, 구글의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이다
하지만 사실 실제 주소는 IP 주소(ex. 123.456.789.0)로 되어있지만
DNS를 이용하여 좀 더 읽기 좋은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우리는 IP 주소 ( IPv4 또는 IPv6 )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73.194.121.32 이런 식
또는 2027:0da8:8b73:0000:0000:8a2e:0370:1337 이렇게
근데... ↑↑↑ 저렇게 긴 주소 다 외울 건가...?
그리고 저 주소는 시간이 지나면 변할 수도 있고 외우기도 어렵다 ㅋ
그래서 도메인 이름 (Domain Name)이라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주소를 사용한다
도메인 이름은 2017년 기준으로 도메인 이름 개수는 3억 개가 넘었는데
지금은 얼마나 더 많을지 ㄷㄷ
2. Domain Name 구조
위에서 도메인 도메인 했는데 어떻게 생겼냐면
도메인 이름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한 가지 이상으로 구성된다
1) TLD (Top-Level Domain)
TLD는 도메인 이름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있는 녀석이다
어떤 사이트 주소를 알려달라고 할 때 www.어쩌구 닷컴 ~ 할 때
". com"이 TLD이다
참고로 com은 commercial을 의미하는데,.
com으로 끝나는 주소는 상업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edu로 끝나는 주소는 교육용 주소겠다.
정리하자면 TLD는
도메인 이름 뒤에 있는 서비스의 목적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TLD에는 gTLD라는 것과 ccTLD 라는 것이 있다
gTLD (generic top-level domain)
gTLD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com, .org, .net 등등이다
특정한 조직 계열에 따라 사용되는 최상위 도메인으로,
목록은 링크를 보는 걸로-☆
ccTLD (Country Code top-level domain)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ㅋ
국제적으로 각 나라/지역/국제단체에 주어진 고유 부호이다
우리나라는. kr 또는. co.kr를 사용하고, 영국은. uk를 사용한다
다른 나라의 ccTLD 목록은 링크를 참고 -☆
참고로 TLD는 라틴문자나 특수 문자도 포함할 수 있고,
최대 길이는 63 자라고 한다. 보통은 2~3자 정도이다
2) Label ( Component )
Label은 TLD에 나오는 것으로, 숫자 문자 등이 포함된다
hello-bell-lol-lux-26-test 요따구로 써도 유효한 라벨이 된다
TLD 바로 앞에 있는 라벨은 SLD (Secondary Level Domai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위 도메인을 만들 수도 있는데,
mozilla.org를 예시로 들자면 developer.mozilla.org, iot.mozilla.org 등등
서로 다른 내용으로 하위 도메인을 만들 수도 있당
3. Domain Name vs URL
위에서 도메인 이름은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주소라고 설명하였는데,
그럼 의문점이 들 수 있다
이름은 이름인데... 그럼 고유한 식별 주소라고 알고 있던 URL은?
뭐가 다른거징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은 웹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등등
리소스의 위치를 가리키는 주소이다
리소스의 위치에는 전송 프로토콜, 경로 등을 포함하는데
URL에는 도메인 이름이 포함된다
이렇게 말이다 ㅋ
맨 앞에 있는 http는 프로토콜을 의미하고,
프로토콜 다음에는 도메인 이름이 따라온다
그리고 뒤에는 리소스의 경로가 오는 형식을 가졌다
작성할게 많지는 않은 짧은 글이었는데
현업에 치여 이제야 마무리를 하게 됐다;;;
좀 더 부지런히 해야겠다
'BackEnd > Backend Developer Road-M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DNA...아 아니 DNS (0) | 2022.04.27 |
---|---|
2. 브라우니 말고 브라우저 (0) | 2022.04.09 |
1. Internet 동작 원리 (0) | 2022.03.24 |